이 문제가 사회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2001년 초반만 하더라도 병역거부라는 단어는 존재하지도 않는 생소한 주제였다. 이미 13,000여 명 정도의 전과자를 양산했고 지금도 한 해 700~800여 명의 젊은이가 ‘전과자’가 되어서 감옥을 나서게 되는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는 이들을 없는 인물들로 반세기 넘도록 취급해 온 것이다. 하지만 막상 문제가 제기되자 사회적 반응은 뜨거웠다. 그간 정권이 징병제를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무원칙하게 운용해와 ‘빈민개병제’라는 조롱을 받으며 시민적 불신이 극에 달해 있는 상황에서도 우리 사회가 양심을 이유로 젊은이들을 감옥에 보내는 것에 안타까운 시선을 보냈던 것이다. 물론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체복무제도를 폄하해 마치 징병제도의 근간이 무너질 것처럼 목소리를 높이는 와중에도 여론조사 결과에 부침이 있긴 했지만 감옥에 보내는 것은 좀 심했다는 시민들의 연민은 변함이 없었다. 8년여의 시간이 흐른 지금 병역거부와 대체복무는 논술이나 사법시험의 단골 주제로 출제되고 상업영화의 소재로 등장할 만큼 널리 알려진 주제가 되었고 각종 조사기관에서 여론조사도 많이 되었다. 그랬기에 작년 참여정부가 병역거부자들에 대한 사회복무제를 허용한다고 발표했을 때 대체복무를 지지하는 국민여론이 증가했다는 근거를 들기도 했었던 것이다.
지난 5월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의 ‘국가별 인권상황 정기검토’(UPR)에서 국방부는 대체복무 관련한 슬로베니아 대표의 질문에 “한국 정부는 작년 9월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이 시민 대체복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 새 계획을 시행하기 위해서 한국 정부는 현 병역법을 개정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 정부는 올해 국회에 개정 법안을 제출할 예정”이라고 답변하였다. 5월과 7월, 불과 2달 사이에 국민의 여론이 얼마나 확 바뀌었는지는 모르겠다. 국민여론이 바뀐 게 아니라 정부의 시각이 바뀐 게 아닌가? 해주기 싫은 이유치고는 참으로 유치하다.
저작권자 © 천주교인권위원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